array

    [LeetCode] Running Sum of 1d Array

    정수 배열 nums의 자리수까지의 모든 합의 값을 넣은 배열을 반환하라 Example 1: Input: nums = [1,2,3,4] Output: [1,3,6,10] Explanation: Running sum is obtained as follows: [1, 1+2, 1+2+3, 1+2+3+4]. Example 2: Input: nums = [1,1,1,1,1] Output: [1,2,3,4,5] Explanation: Running sum is obtained as follows: [1, 1+1, 1+1+1, 1+1+1+1, 1+1+1+1+1]. Example 3: Input: nums = [3,1,2,10,1] Output: [3,4,6,16,17] import java.util.*; class ..

    Array (배열)

    배열이란? 같은 타입의 데이터를 나열한 선형 자료구조이다(sequence container)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배열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고, 선언 시 배열의 크기를 정하고 이를 변경할 수 없다. 장점 구현이 쉽다. 인덱스를 이용해 접근이 가능해 검색 성능이 좋다. 데이터의 크기가 확정적일 때 배열을 사용하는 것이 메모리나 처리속도 면에서 좋다.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존재하기 때문에 관리하기가 편하다. 단점 삽입과 삭제가 어렵고 오래 걸린다. 원소를 삽입하거나 삭제할 경우, 다음 항목의 모든 요소를 이동시켜야 한다. (연속된 메모리 공간) 이를 위한 연산작업이 수행되어 비효율적이다. 자료의 수에 비례하여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배열의 크기를 바꿀 수 없다. 크게 잡을 경우 메모리가..

    2주차 과제: 자바 데이터 타입, 변수 그리고 배열

    목표 자바의 프리미티브 타입, 변수 그리고 배열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학습할 것 프리미티브 타입 종류와 값의 범위 그리고 기본 값 프리미티브 타입과 레퍼런스 타입 리터럴 변수 선언 및 초기화하는 방법 변수의 스코프와 라이프타임 타입 변환, 캐스팅 그리고 타입 프로모션 1차 및 2차 배열 선언하기 타입 추론, var 변수란? 프로그램은 작업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변수를 사용하는데, 변수(Variable)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을 의미한다. 변수란 이름을 가진 이유는 프로그램에 의해 수시로 값이 변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변수에는 복수 개의 값을 저장할 수 없고,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 타입 변수에는 정수값만 저장 가능..